Learning Space/X-Foil

B. Use of XFOIL(Inviscid Flow)

JONNY ALOHA 2023. 1. 6. 11:01

1. 원하는 NACA를 입력한다.

 XFOIL   c>  NACA 4412

 

2. oper을 입력한다.

 XFOIL   c>  oper

그렇게 되면 다음과 같이 .OPERi 가 표시가 되는데 여기서 i는 비점성(inviscid)를 의미한다.

 

2. 원하는 받음각을 입력한다.

.OPERi   c>  alfa 2

그렇게 되면 받음각 2도에 따른 그래프가 표시된다.

 

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C_L, C_M, C_D의 값을 알 수 있다.

하지만 C_D의 값은 0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1)수치해석으로 푼 결과이기도 하며 2) Trailing Edge의 두께가 0이 아니므로 이러한 결과 값이 나타난다.

 

 

728x90